![]() |
장마철 우울증 | ![]() |
우울증센터 |
---|
장마철 우울증은 어떤 질환이며 그 원인은?
계절성 우울증의 하나로 가을이나 겨울에 많이 나타나지만 장마철에도 일조량의 부족으로 우울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장마처럼 흐린 날이 지속되면 뇌 속에서 멜라토닌이라는 물질의 분비가 늘어나게 되어서 우울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멜라토닌의 역할과 분비되는 원리는?
멜라토닌은 인체의 생체 리듬을 조절하는 호르몬으로 뇌의 송과선에서 분비되는데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에 따라 분비량이 조절됩니다. 주위가 밝을 때에는 조금 분비되고 어두워지면 많이 분비됩니다. 구름이 하늘을 가려 일조량이 감소하면 멜라토닌 분비가 늘게 되고 이것이 수면 및 진정작용을 유도해서 기분이 우울해집니다.
장마철 우울증의 증상은 어떤 것이며 일반적 우울증과 다른 점이 있다면?
일반적인 우울증이 식욕저하 및 불면증을 동반하는 것과 달리 장마철 우울증은 지나치게 많이 먹고 잠만 자게 됩니다. 이유 없이 두통이나 위경련 같은 신체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죽고 싶은 생각까지 들 수 있습니다.
매년 증상이 반복되는 경우에 그대로 방치한다면 만성우울증으로 발생할 수 있는지?
장마철 우울증은 증상이 저절로 호전되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에서는 관절통, 두통, 위경련 같은 신체증상으로 이어지거나 자살 사고 등이 발생해서 만성적인 우울증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장마철 우울증의 치료방법은
초기
1) 햇빛이 나는 시간에는 꼭 밖에 나가서 산책이나 운동을 해야 합니다
2) 기상시간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낮잠은 자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3) 집안을 화사하게 꾸며 기분전환을 하거나 낮에도 불을 환하게 켜두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4) 수영, 요가, 스트레칭 등 유산소 운동
5) 술, 커피는 자제
6) 혼자 있지 말고 사람들을 만난다.
심각한 경우:
죽고 싶은 생각이 든다. 일상생활이나 직장에 지장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