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단축키 목록

맨 위로

현재 페이지 위치 : 우울증센터 > 질병상식 > 건강정보

건강정보

용어검색

분류 검색

생활건강

삶의주기

* 본 검사정보는 삼성서울병원에서 저작권을 소유 하고 있습니다. 무단 배포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산후 우울증

인쇄하기 메일발송 건강 Ebook 담기

  • 주요정보
  • 건강정보
  • 질환정보
  • 진료정보
  • 검사정보
  • 관련정보
  • 식이요법

질환정보

목록 정보
질환명 우울증 환자의 자기 관리 출처 우울증센터

내용

우울증 환자의 자기 관리

우울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스스로 우울증이 있음을 알고 주위에 도움을 청하는 것입니다.
① 우울증에 대해서 전문가의 도움을 청해야 합니다.
우울증에 걸렸을 때 스스로 우울증이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의욕이 없고 피로감 등 다른 증상이 더 두드러져서 스스로 우울증인지 잘 모르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여러 가지 신체적인 질환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우울증이 동반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앞에서 설명한 증상이 자신 또는 가족의 증상과 동일하다면 먼저 전문가의 평가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② 자신이나 주변을 최악의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우울증이 있으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가장 나쁜 가능성을 가장 현실적인 것으로 생각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인생의 여러 가지 중요한 일을 잘못 결정해서 사직을 하거나 이혼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울증이 있는 경우에 결정해야 하는 가장 큰 일은 의사의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입니다.
다른 중요한 결정은 우울증이 치유된 이후로 미루어 놓으십시오. 분명히 다른 결론을 내리게 될 것입니다.

③ 자살과 관련된 충동이 들면 주위에 알려서 도움을 받으십시오.
우울증이 있으면 자살 생각이 들고 충동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마치 내일 아침이 오지 않을 것 같고
우울한 밤이 계속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잠이 오지 않고 불안, 초조가 계속되면 삶에 대한 회의가 심하게 듭니다.
하지만 밤이 지나면 새벽이 오듯이, 우울증에서 회복된 사람들은 마치 꿈에서 깨어난 것처럼 왜 그때 그런 생각을 했는지
모른다고 합니다.
따라서 충동이 생길 때는 이것이 우울증의 하나의 증상임을 알고 가족에게 알리고 전문가의 도움을 찾아야 합니다.

④ 새로운 약물을 복용할 때는 담당 선생님에게 여쭈어 봅니다.
약물 가운데에는 부작용으로 우울증을 유발시키는 약이 많이 있습니다.
또한 약을 여러 가지 섞어서 복용하다 보면 약물 간에 여러 가지의 상호작용이 발생하면서 서로 부작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하나만 복용하면 생기지 않을 부작용도 생길 수 있습니다.
노인들의 경우에는 많은 약을 복용하고 간기능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