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행동도우미 [학교폭력예방] 학교폭력 피해 자녀를 위해 부모가 해야 할 일


 

 
학교폭력예방
 
 
 
슬퍼하는 학생 여학생과, 즐거워하는 세 학생

 

 

우리 아이가 학교 폭력의 피해를 당하고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수진이 엄마는 수진이를 학교에 보낼 때마다 걱정이 됩니다. 요즘 TV나 신문에서 학교폭력에 대한 기사가 심심치않게 나오는 것을 보면 남의 일 같지가 않고, 혹시 우리 수진이가 다른 아이에게 폭력을 당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혹은 반대로 다른 아이들을 괴롭히는 가해학생은 아닌지 늘 마음이 불안합니다. 수진이가 사춘기가 되면서부터 집에서 별로 말을 안 하고 말수가 적어졌기 때문에 점점 그러한 불안감은 커져만 갑니다. 수진이가 집에 돌아오면, 늘 주의해서 살펴보지만, 어떻게 하면 학교폭력의 가해나 피해사실을 빨리 알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학교폭력 피해 자녀를 위해 부모가 해야 할 일

학교폭력 피해 학생들은 대부분 그 피해 사실을 부모나 교사에게 알리지 않고 친구에게만 의논하거나 혼자서 고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해 학생의 경우는 더더욱 부모에게 알려지면 야단맞을 것이라는 생각 때문에, 자신의 가해 사실을 숨기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따라서 자녀에 대한 부모님들의 세심한 관찰과 주의가 매우 중요합니다. 조그마한 징후라도 발견하게 된다면, 자녀와의 대화를 통해 반드시 사실 여부를 확인하십시오. 그것이 자녀의 안전을 지켜내는 첫걸음이 됩니다. 학교폭력의 피해 및 가해 여부를 살펴볼 수 있는 구체적인 징후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육하원칙에 따른 진술서 쓰기

신체적 폭행, 금품 갈취는 물론 욕설 등 언어적 폭력까지 모두 피해 진술서를 쓸 수 있다.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했는지에 대해 자세하게 작성해놓는다. 그 외에 현재의 기분, 원하는 조치, 학교나 담임교사로부터 필요한 도움 등을 적어놓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둘째, 최대한 많은 증거 모으기 

아이가 폭행을 당했다면 병원 진단서와 함께 의사 소견서를 끊고 상처가 잘 보이도록 사진을 찍어놓는 것이 좋다. 그동안 피해가 담긴 기록물이 있다면 무엇이든 된다. 피해 학생의 일기장, 주변 친구들의 진술서, 문자나 음성 메시지 등 모두 증거가 될 수 있다.

셋째, 신종 학교폭력은 신종 증거로 맞대응

떼카(단체 메신저 폭력)는 스마트폰 기능을 이용해 캡처해놓고, 와이파이셔틀은 전후 데이터 사용량을 입증할 수 있는 사용 내역서를, SNS혐짤따(혐오스런 사진을 인터넷에 올리는 것)는 사진을 올린 사람과 댓글을 단 사람을 캡처해서 저장하거나 출력해서 문서로 만들어놓으면 된다.

넷째, 심리적으로 안정될 수 있도록 돕는다.

내 자녀가 밖에서 맞고 들어온다는 것은 부모로서 매우 속상한 일입니다. 하지만 당사자인 아이의 마음은 더욱 힘들고 괴롭다는 것을 기억하고, 아이가 심리적으로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자녀를 비난한다거나 너도 때려주라는 식의 공격성을 부추기기보다는 지지와 격려를 통해 안정감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다섯째, 사건의 재발 방지를 위해 노력한다.

지속적으로 자녀의 학교생활에 관심을 가지고 자주 대화를 하면서 다시 이러한 일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와야 합니다.

여기서 잠깐!!

자녀가 피해를 당했을 때, 이런 말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 넌 왜 그렇게 바보같이 당하고만 있니?
  • 별거 아니야, 엄마, 아빠도 다 맞으면서 컸어.
  • 그거 하나 해결 못하면 인생의 실패자가 되는거야.
  • 너도 싸워. 맞고만 있지 말고 너도 때리란 말야.
  • 엄마 아빠가 다 알아서 할테니 넌 가만히 있어.
  • 시간이 해결해 줄거야.
  • 엄마 아빠 말고 아무한테도 너 맞은 얘기 하지마. 그러면 널 깔볼거야.
  • 친구같은 건 없어도 되니까 공부만 신경써.

 

 

이렇게 말해주세요.

  • 그동안 많이 힘들었겠구나.
  • 엄마 아빠가 지켜보고 있을테니 걱정하지 말아라.
  • 그래도 이렇게 잘 버텨온 것을 보니 훌륭하구나.
  • 도움을 청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란다.
  • 싫은 것을 싫다고 이야기 하는 것이 용기있는 사람이야.
  • 자, 이제 우리가 이 일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 지 같이 이야기 해볼까?

태그
14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