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
---|---|
출처 | 인포그래픽 |
카테고리 |
|
우리나라 문화와 관련한 정신의학적 증후군으로 우울증, 신체화 장애, 범불안 장애, 공황 장애, 공포증, 기분부전증 등의 증상이 혼합된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우울증과 마찬가지로 주변 환경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
1.특징적인 감정 반응
속상함, 억울함, 분함, 화남, 증오
2. 일반 신경증 증상
우울, 불면, 소화 장애, 두통, 신체적 통증 등
3. 기타 증상
답답함, 열기, 입 마름, 치밀어 오름, 가슴 뜀, 목 또는 가슴의 덩어리 뭉침, 한숨
[화병 진단 체크리스트]
□ 밤에 잠을 못 자거나, 자고 나도 개운하지 않다.
□ 신경이 예민해 사소한 일에도 짜증이 난다.
□ 두통이 생긴다.
□ 소화가 잘 안된다.
□ 숨이 쉽게 차오른다.
□ 화가 나면 얼굴과 온몸에 열이 오른다.
□ 가슴이 두근거린다.
□ 의욕이 없다.
□ 명치끝이 딱딱하게 느껴진다.
□ 혓바늘이 돋아 음식을 씹기 힘들다.
□ 아랫배가 따갑다.
□ 목 안이 꽉 찬 느낌이다.
※ 자가 진단 테스트 중 2~3가지 이상 해당하는 경우에는 화병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화병은 다양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증상이 심하면 심장에 이상이 없는 사람도 가슴 통증이나 협심증, 심근경색, 심혈관 질환으로 진행할 수 있고, 최악의 경우에는 심장마비로 돌연사할 가능성까지 있습니다.
1. 기분전환하기
스스로 기분이 좋아질 만한 일을 만든다. 가벼운 운동이나 취미 생활을 하는 것이 좋다.
2. 주위 사람과 어울리기
좋은 사람과 자주 만나고 친구와 함게 식사하거나 차를 마시며 대화를 나눈다.
3. 자신의 감정에 솔직해지기
자신의 감정을 명확하게 드러낸다. 싫은 것은 싫다고 말한다.
4. 술, 담배 멀리하기
술이나 담배, 카페인에 의존하지 않고 녹차, 허브차 등을 꾸준히 마시거나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근육을 이완한다.
5. 전문의와의 상담하기
자신의 감정 상태를 꾸준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2주 이상 비관적인 마음이 들거나 식욕이 없고, 의욕상실 상태가 지속된다면 전문의를 찾아 상담하고 치료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