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에서의 비만도 측정은 키와 몸무게를 이용한 체질량 지수(BMI)가 흔히 이용됩니다. (예외 : 근육질 운동선수, 임산부, 수유부, 성장기 어린이, 고령, 척추 측만, 후만증 환자 등은 제외)

예를 들어, 본인의 체중이 90kg이고 키가 170cm라면 체질량 지수인 BMI는 체질량지수(BMI)=90kg/ (1.7m)² 이므로 = 31이 됩니다.
체질량 지수(BMI)를 이용한 비만도 측정방법
서양인의 BMI에 의한 분류(WHO기준) | 아시아 성인의 BMI에 의한 분류 | ||
---|---|---|---|
분류 | BMI(kg/m²) | 분류 | BMI(kg/m²) |
저체중 | < 18.5 | 저체중 | < 18.5 |
정상범위 | 18.5 ~ 24.9 | 정상범위 | 18.5 ~ 22.9 |
과체중 | > 25 | 과체중 | > 23 |
위험체중 | 23 ~ 24.9 | ||
비만전단계 | 25 ~ 29.9 | ||
1단계비만 | 30 ~ 34.9 | 1단계비만 | 25 ~ 29.9 |
2단계비만 | 35 ~ 39.9 | 2단계비만 | > 30 |
3단계비만 | > 40 |
허리둘레를 이용한 비만도 측정방법
아시아 기준 남성: 90cm 이상, 여성: 80cm 이상
비만의 종류
사과형(남성형, 상체형, 내장비만형)은 서양배형(여성형, 하체비만형)에 비해 동반질환의 위험도(관상 동맥질환, 제2형 당뇨병 등)가 매우 높은 비만입니다.
소아비만은 지방세포가 비대해지는 성인비만과는 다르게 지방세포가 증식하는 비만형으로 성인이 된 후에도 지속적인 비만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성장기에 적절한 체중관리(균형 잡힌 식이요법, 적절한 운동)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