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뇨의학과
이규성 교수
Lee Kyu Sung진료분야
전립선비대증, 과민성방광, 요실금, 만성간질성방광염, 여성 골반장기 탈출, 신경인성배뇨장애, 전립선 레이저 수술, 야간빈뇨, 여성비뇨의학질환
진료일정
05 | 일 29 |
월 30 |
화 31 |
수 01 |
목 02 |
금 03 |
토 04 |
---|---|---|---|---|---|---|---|
오전 | |||||||
오후 |
TV/동영상
-
학력
학력1998.0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1991.0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 1987.0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경력
경력2020.05 ~ 현재 삼성서울병원 미래의학연구원장 2020.05 ~ 현재 삼성서울병원 연구부원장 2013.08 ~ 현재 삼성서울병원 장기이식센터 전문의 학회활동
학회활동01.12 ~ 2020.12 대한비뇨의학회 회장 01.12 ~ 2016.12 대한비뇨의학회 총무이사 01.12 ~ 2013.12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회장 수상이력
수상이력2018.10 38th SIU Congress best Poster 2017.12 보건복지부 장관상
광에너지를 이용한 배뇨장애 치료
배뇨기능은 신경계의 조절을 받기 때문에 신경질환은 다양한 형태의 배뇨장애를 유발 할 수 있다. 신경계의 활성-억제는 배뇨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방법으로 전기자극이 사용되고 있으나 신경 특이성이 떨어지고 억제 기능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Optogenetics은 빛을 이용하여 생물의 신경활동을 정확하게 조절하는 기술로서 초기에는 빛에 반응하는 뇌신경세포와 시신경 세포를 레이져 빛 등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정밀한 작동제어 및 빠르게 뉴런을 자극하여 행동을 이끌어 내는 것이 Optogenetics의 키포인트이며, Optogenetics에 관련된 많은 세포 및 티슈 등이 발견 되고 있으며 임상적인 사용처로는 특정파장을 산출 하는 섬유(화이버)형태의 의료기기로 파킨슨병 등 신경계 관련 질병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원리는 배뇨기능을 담당하는 신경계의 활성-억제를 통해 다양한 배뇨장애 치료에 응용이 가능하다.
-
MOL PHARMACOL 2021 10.1124/molpharm.120.000106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Large-Conductance Calcium-Activated Potassium Channel Activator, CTIBD, and Its Relaxation Effect on Urinary Bladder Smooth Muscle
Lee1, N; Lim, BH; Lee, KS; Shin, J; Pagire, HS; Pagire, SH; Ahn, JH; Lee, SW; Kang, TM; Park, CS
View PubMed -
IEEE T BIO-MED ENG 2021 10.1109/TBME.2020.2995841
An Efficient Noninvasive Neuromodulation Modality for Overactive Bladder Using Time Interfering Current Method
Lee1, J; Park, E; Kang, W; Kim, Y; Lee, KS; Park, SM
View PubMed -
COMPUT METH PROG BIO 2021 10.1016/j.cmpb.2020.105819
Automatic stenosis recognition from coronary angiography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Moon1, JH; Lee, DY; Cha, WC; Chung, MJ; Lee, KS; Cho, BH; Choi, JH
View PubMed
- 2021-03 [기타] 남성 요실금도 치료 골든타임…보험 가능 치료법 '...
- 2020-11 [기타] 배뇨근 저활동성 배뇨장애 환자, 소변줄 안녕?
- 2020-11 [파이낸셜뉴스] 배뇨근저활동성 배뇨장애 환자, 소변줄 고통서 벗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