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니스
114642014-02-21
테니스는 힘과 지구력, 속도, 유연성 등의 체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가족 단위로도 즐길 수 있는 운동입니다. 이러한 테니스를 즐기다 보면 집중력, 의지력, 민첩성, 정신력, 그리고 책임감이 크게 향상 됩니다.
-
탁구
205702014-02-21
탁구는 쉴 새 없이 날아오는 공을 빠르고 정확하게 쳐서 반대편으로 넘겨야 하기 때문에 민첩성, 순발력, 판단력 등을 기르는데 좋으며 폐활량도 늘릴 수 있어 성인병 예방에도 효과가 큽니다. 또한 날씨, 시간 등에 얽메이지 않고 즐길 수 있으며 규칙도 간단해 남녀노소 누구든지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
인라인 스케이트
154272014-02-21
인라인 스케이트는 유산소 운동으로 심폐 기능이 많이 향상되며 달리기 동작보다 발과 무릎 관절에 부담을 덜 줍니다. 또한 대퇴근 및 종아리 근육 발달은 물론 균형 감각도 많이 향상됩니다.
-
스키
90222014-02-21
스키는 겨울철 운동 중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하나의 대중스포츠로 눈의 경사면을 이용하여 스피드와 스릴을 느끼며 즐길 수 있는 운동입니다. 또한 운동감각, 민첩성과 균형 감각을 발달시킬 수 있고 자연 속에서 즐기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안정을 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스케이트
94252014-02-21
스케이트는 유산소성 운동으로 심폐기능 향상에 효과가 탁월합니다. 아울러서 유연성, 민첩성, 순발력 등의 향상도 이루어지며, 특히 어린이들에게는 인체의 균형 감각을 증진시켜주고 또한 하지 근력의 발달과 함께 인체의 균형 감각을 증진시켜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
스노보드
84552014-02-21
스노보드는 겨울철 운동 중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하나의 대중스포츠로 눈의 경사면을 이용하여 스피드와 스릴을 즐길 수 있는 종목입니다. 그리고 스노보드는 운동감각, 민첩성과 균형 감각을 발달시킬 수 있고 자연 속에서 즐기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안정을 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수영
171362014-02-21
수영은 신체 전반을 골고루 사용하는, 에너지 소비량이 큰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입니다. 부력에 의해 체중의 80%정도가 감소되기 때문에 노약자나 비만, 관절염환자에게 권유되는 운동입니다. 심폐체력 향상은 물론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운동입니다.
-
사이클
170802014-02-21
사이클링은 신체에 대한 충격이 적으며 허리나 무릎, 관절 등에 큰 상해를 주지 않고 모든 연령층이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입니다. 심폐 기능을 향상시키면서 하지의 근지구력을 발달시키는데도 매우 좋습니다.
-
배드민턴
254452014-02-21
라켓을 들고 하는 운동의 특성상 스윙 동작으로 인해 어깨 손상과 손목 손상이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또한 빠른 스텝, 급격한 방향 전환 등으로 인한 발목 염좌 및 아킬레스 건염, 점프 동작으로 인한 무릎 손상 등이 대표적인 부상들입니다. 이러한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준비 운동과 정리 운동, 정확한 자세와 기술 구사가 필수적이며, 자신에게 맞는 즉, 무리 하지 않고, 적절한 시간을...
-
마라톤
107162014-02-21
마라톤은 심장과 폐에 적절한 자극을 주어 심폐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운동입니다. 또한 운동 시 에너지 소모량이 많아 체중감량과 비만해결에도 도움이 됩니다. 5km , 10km 그리고 하프 마라톤에 목표를 정하여 단계적으로 실천하면서 완주했을 때 심리적 성취감 또한 얻을 수 있습니다.
-
골프
118852014-02-21
골프는 대부분 걷기 위주의 유산소 운동형태이며, 심혈관계에 무리가 가지 않는 낮은 강도의 운동이다. 이러한 골프 경기는 대략적으로 4시간에 걸쳐서 10km의 거리를 샷을 병행하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심리적, 기술적, 체력적인 요소를 좋게 합니다. 또한 연습장에서 1시간 이상 스윙 연습을 하는 것도 몸의 유연성 향상과 함께 상체 근육의 발달에 도움을 줍니다. 드라이버부터 아이언, 웨지, 퍼터에 이...
-
농구
163202014-02-05
농구경기를 잘 하기 위해서는 강인한 체력을 바탕으로 정확한 기초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절대적인 요소입니다. 농구에 필수적인 체력향상을 위해 심폐지구력 운동, 근력 강화운동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농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순발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연속 왕복달리기나 수직점프 동작을 반복해서 실시하면 효과가 있습니다. 유연성이나 민첩성은 근육이나 관절의 부상예방에 필수적인 요소이...
-
야구
83292014-02-05
야구는 투수가 던진 공에 맞아 타박상을 입는 경우나 수비 중에 달리는 주자와 부딪쳐서 부상을 당하는 경우 등 급격한 신체와 공의 움직임에 따라 부상을 당하는 일이 허다합니다.
-
축구
132802014-02-05
축구는 주로 플레이 수준이 높은 경우이거나 경쟁적인 활동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경우, 연령이 높은 경우에 손상 발생률과 심한 손상의 발생빈도가 높아집니다. 축구 전체 손상의 60% 이상이 상지 손상보다는 주로 하지 손상이 많이 일어나고 그 중에서 타박상, 인대손상, 근육좌상의 가장 흔히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