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저작물은 삼성서울병원의 동의없이 무단으로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지게될 수 있습니다.
맨 위로
검사종목 및 적응증
- 탈륨 SPECT, 아데노신 부하 (Thallium Myocardial SPECT, Adenosine)
- 흉통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협심증 진단
- 관상동맥 질환의 경중도 및 예후평가
- PTCA나 CABG 치료 후 치료효과 평가나 경과관찰
검사방법
- 누운 상태에서 심전도를 모니터하며 아데노신 정맥주사로 관상동맥 확장을 일으킵니다. 이때 탈륨을 주사하고 부하기 촬영을 합니다.
- 4시간 뒤에 추가 주사없이 재분포 영상을 촬영합니다.
- 각각의 촬영은 20분씩 소요됩니다.
- 탈륨섭취는 심근 혈류량에 비례하므로 부하기 영상의 결손은 허혈심근이나 경색심근을 나타내며 재분포 영상에서 정상화되면 허혈심근에 해당합니다.
- 진단과 예후평가를 위해 다음을 판정합니다: 관류결손의 위치와 크기 및 경중도, 결손의 재분포 정도, 좌심실의 확장 유무, 폐섭취의 증가 유무
유의사항
- 협심증 약은 검사 하루 전부터 끊되 복용을 중지한 동안에 흉통이 있으면 드십시오. 당일 오전 촬영 후부터는 협심증 약 복용을 다시 시작하십시오.
- 검사 전날부터 진통제, 감기약, 바나나, 박카스, 원비디 드링크, 담배, 커피, 차, 콜라, 쵸코렛을 금하며, 검사당일 아침부터 금식을 해야 합니다.
- 두개의 촬영 사이에 4시간을 대기해야 하며 대기시간 동안에는 점심을 적게 드시고 활동도 적게 하셔야 검사가 정확합니다.
- 천식이 있는 환자는 검사 전에 접수에 말씀해 주십시오. 약물치료 중인 심한 천식 환자의 경우는 검사가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심근관류 탈륨 SPECT 영상의 예-1

심근관류 탈륨 SPECT 영상의 예-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