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단축키 목록

맨 위로

새로운 지식, 혁신과 개선


현재 페이지 위치 : 간호본부 > 새로운 지식, 혁신과 개선 > 간호연구·EBP

간호연구·EBP

SMC 임상간호 연구·EBP 목표


삼성서울병원 간호본부에서는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임상에 적용함으로써 간호의 질적 향상과 간호 전문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임상간호 연구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상의 근거를 통한 임상간호실무 개선을 목표로 근거기반간호실무(Evidence Based Practice, EBP)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임상 간호사들이 우수 PICO를 근거기반간호실무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문헌검색과 비평적 평가, 근거의 합성, 근거수준평가 및 권고안 도출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에 대한 방법론과 멘토링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SMC 임상간호 연구·EBP  교육


간호사의 연구·EBP 역량 향상을 위해 전문 강사진에 의한 연구·EBP 전문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간호사의 연구·EBP 관심 유도와 간호 현장의 원활한 과제 진행을 위해, 연구·EBP 전문간호사에 의해 임상질문과 연계한 연구·EBP 참여형 재직교육을 정기적으로 제공하고, 연구·EBP 방법론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임상간호 연구·EBP 현황


2022년
  • 한국어판 Cornell Assessment of Pediatric Delirium를 이용한 소아 섬망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 수술실 간호사의 팀워크와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신생아중환자실 미숙아를 위한 직접 모유수유 프로토콜 개발
  • 뇌종양 환자의 수술 후 일상생활활동 복귀 시기 조사
  •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용 인두 마취제인 리도카인 스프레이와 베노카인 용액 간 환자
    불편감과 의료진 만족도 비교
  • 냉각 스프레이 적용이 혈액투석 환자의 동정맥루 천자 시 통증과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 Cetuximab을 투여 받은 대장암 환자에서 주입관련반응 발생 현황
2021년
  • 일 종합병원의 간호사 경력개발제도를 근간으로 한 중환자실 책임간호사 역할의 정립
  • 소아에서 비 접촉성 적외선 체온계의 타당도 평가: 관찰 연구
  •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를 위한 낙상 위험 사정 도구(Edmonson Psychiatric Fall Risk Assessment Tool) 타당도 검증
  • 부위 마취로 제왕절개 수술을 받은 산모의 조기 경구 섭취가 장기능, 위장관 합병증, 만족도 및 수술 후 회복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2020년
  • 한국어판 CAPD 소아 섬망 도구의 검증
  • 특수부서 간호사의 경력관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교대근무 간호사의 부서이동 후 역할적응 경험
  • CT 조영제로 인한 아나필락시스 발생 시 조기 Epinephrine 투여가 환자의 빠른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가?(EBP)
  • 만성 신장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조영증강 CT검사 시행 전 경구 수액요법과 정맥 수액요법이 급성 신부전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 평가(EBP)
  • 전신마취 수술 후 폐합병증 예방을 위한 간호 가이드라인 개발(EBP)
2019년
  • 말초 정맥관 삽입 어려움 예측을 위한 노모그램 구축
  • 경피적 내시경 위루관 삽입 후 조기 식이 적용(EBP)
  • 성인 뇌 손상 발열 환자를 위한 표준화된 발열 중재 알고리즘 개발과 효과 평가
  • 가족의 중환자실 일기체험
  • 임신성 당뇨병 산모를 위한 산후관리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자가 관리 및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
  • 중환자실 간호사를 위한 임종간호 디브리핑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 비중격성형술 환자의 비강충전 제거 시점에 따른 수면의 질, 통증, 출혈: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
2018년
  • 말초 정맥주사 삽입 어려움 예측 요인
  • 근거 기반 간호 실무지침 수용개작: 습기 관련 피부 손상의 예방과 관리(EBP)
  • 급성대동맥증후군 환자의 병원간 다이렉트 전원의 효과
  • 혈액 투석 환자의 자가관리 이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고위험 임부 대상 집중 치료프로그램이 불확실성, 불안, 태아애착에 미치는 효과
  • 미숙아 어머니의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과 모아 애착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