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후 관리
1) 담당의사의 지시가 있을 때까지 침대높이를 30도 정도로 유지하고 누워있어야 합니다. 침상안정 해제 시기는 수술 중 뇌척수액 누출 여부 및 뇌척수액 배액관 삽입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수술 후 1-7일째). 이때 옆으로 돌아눕거나 팔다리는 자유롭게 움직이셔도 되지만, 침대 높낮이 조절은 안됩니다. 맨 처음 거동 시에는 어지러움 증이 생길 수 있으니 보호자와 동행하세요.
2) 수술 후 2-3일째 이비인후과에서 코 속의 거즈를 제거하거나 수술상처를 확인하고 드레싱을 시행합니다. 이후 지시에 따라 코 속에 약물을 적용하게 됩니다.
3) 소변은 수술 중에 삽입한 소변 줄을 통해 나오게 되며, 3-4일간 소변 줄을 가지고 있게 됩니다. 이때 체내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을 확인 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소변량을 한 시간마다 측정하게 되며 혈액과 소변검사를 보통 하루에 2회 정도 하게 됩니다.
4) 수술 후 2일째 기본 호르몬 검사를 시행하여 수술 후 호르몬 변화를 확인하고 내분비내과와 상의하여 필요 시 호르몬을 보충하게 됩니다.
5) 폐렴 예방 및 폐의 원활한 환기를 위해 심호흡(구강호흡)을 열심히 하되, 기침, 재채기, 코 풀기 등은 하지 마십시오.
6) 수술 후 1일째 가스배출 전까지는 금식을 유지합니다. 가스가 나오거나 담당간호사가 장음을 청진하여 장 운동이 확인되면 물→죽→밥 순서대로 드시게 됩니다. 이때, 빨대는 사용하지 마세요. 침상안정 기간에는 식사도 누워서 해야 합니다.
7) 수술부위 통증이 약 5일정도 지속될 수 있으며, 필요 시 진통제를 적용 받으세요.
8) 수술부위 소독은 보통 수술 후 7일째 이비인후과에서 시행하게 됩니다. 배 부위는 수술 후 2-3일마다 소독을 하고 10일째 실밥을 뽑습니다.
9) 이상 소견이 없으면 수술 후 7일째 퇴원하게 됩니다
※ 수술 후 맑은 콧물이 나오거나 목뒤로 삼켜지는 기분이 들면 즉시 간호사에게 알리세요.
※ 수술 후 맑은 콧물이 나오거나 목뒤로 삼켜지는 기분이 들면 즉시 간호사에게 알리세요.
퇴원 후 관리
외래 방문
퇴원 1,2주 후 신경외과, 이비인후과, 내분비내과 외래를 첫 방문하게 됩니다. 이후 신경외과는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단위로 방문하게 되며, MRI는 일반적으로 1년을 주기로 찍게 됩니다. 호르몬 조절이 안될 경우 내분비내과에서 호르몬 약물요법을 하게 됩니다.
운동 및 활동
걷는 것이 제일 좋으며, 처음 며칠간은 짧게 하루에 몇 번만 하십시오. 수술 후 쉽게 피곤함을 느끼는 기간 동안에는 활동 중간에 자주 쉬도록 하십시오. 수영은 담당 의사가 확실하게 허락할 때까지 금기하십시오.
머리감기
수술 후 거동이 편해지면 가볍게 샤워하거나 머리를 감을 수 있습니다. 단, 수술 후 3개월까지는 코 상처부위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고개를 앞으로 숙이지 말고 서서 감으세요.
변비 관리
수술 후 3개월까지는 변비로 인해 대변 볼 때 힘을 많이 주게 되면 뇌압이 상승하여 뇌척수액이 코에서 새어 나올 수 있습니다. 변비 관리를 위한 일상생활 수칙을 지켜주셔야 합니다.
금기 사항(수술 후 3개월간 주의)
. 코를 풀거나 기침, 재채기, 빨대 사용, 코 이물질 제거
. 아기 안기, 무거운 물건 들거나 밀거나 또는 잡아당기기, 근력운동, 물구나무서기
. 비행기탑승, 장거리운전
. 음주, 흡연, 한약복용
. 성생활
. 아기 안기, 무거운 물건 들거나 밀거나 또는 잡아당기기, 근력운동, 물구나무서기
. 비행기탑승, 장거리운전
. 음주, 흡연, 한약복용
. 성생활
다음 증상이 있으면 연락하세요.
. 저 나트륨혈증
수술 후 10-14일 사이에 오심, 구토, 무기력(힘이 없음), 몸살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근처 병원에서 전해질 검사를 받고 결과 확인 및 응급처치 후 본원 방문하셔야 합니다.
. 요붕증
소변량이 늘거나(밤에 2회 이상 화장실 가는 것), 입이 타 들어가는 느낌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항이뇨호르몬 분비 부족에 의한 증상으로, 충분히 물을 마시며 병원에 오셔서 약물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 출혈
갑작스런 선홍색 코피가 나고, 출혈이 멈추지 않을 경우 근처 병원에서 응급처치 후 본원 응급실로 오세요
. 뇌척수액 누출
아침에 일어났을 때 목뒤로 뭔가 넘어오는 느낌이 있거나 코로 물처럼 맑은 액체가 흐른다면 뇌척수액 누출을 의심해야 합니다. 방치할 경우 뇌척수액 감염으로 인한 뇌수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병원으로 연락하고 바로 응급실로 오세요.
. 시야/시력 변화
퇴원시보다 좁아지거나 흐린 시야, 시력저하 및 복시 발생시 응급실로 오세요.
. 갑작스런 발열 및 두통
수술 후 2-3개월까지는 두통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두통과 발열은 뇌수막염 초기 증상일 수 있습니다. 해열제 복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열의 양상을 파악하십시오. 37.8도 이상의 고열이 지속되며 그림과 같은 증상 발생시 뇌수막염을 의심할 수 있으므로 응급실로 오세요.

기타
. 말단비대증 환자에게서 탈모가 수술 후 6개월간 있을 수 있습니다.
. 이비인후과에서 코 세척을 권유 받았다면 하루에 2회 정도 해주세요. 코 세척을 소홀히 하면 코에서 악취가 날수 있습니다.
. 이비인후과에서 코 세척을 권유 받았다면 하루에 2회 정도 해주세요. 코 세척을 소홀히 하면 코에서 악취가 날수 있습니다.
※ 수술 후 4주 정도까지는 누런 콧물, 검은 피가 섞인 콧물, 커다란 코딱지 등이 나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처럼 맑은 콧물이 주루룩 흐를 때에는 병원에 바로 오셔야 합니다.
또한, 갑작스런 시각 변화, 두통, 구토, 평상시보다 잠을 많이 자거나 의식혼돈을 보일 경우에도
즉시 병원에 연락하거나 응급실로 오십시오.
하지만 물처럼 맑은 콧물이 주루룩 흐를 때에는 병원에 바로 오셔야 합니다.
또한, 갑작스런 시각 변화, 두통, 구토, 평상시보다 잠을 많이 자거나 의식혼돈을 보일 경우에도
즉시 병원에 연락하거나 응급실로 오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