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표적치료제
암세포가 발현하는 특정신호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효과를 발휘하며 기존의 항암치료와 달리 정상세포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아 부작용도 심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표적치료제가 기존의 항암제를 모두 대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기존항암제와 병행하여 치료하면 더욱 높은 효과 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현재 쓰이고 있는 표적치료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리툭시맵(Rituximab, Mabthera 맙테라)
• CD20이라는 단백에 양성인 임파종에서 사용됩니다.
• 주로 여포성 림프종과 미만성 대세포 림프종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투여 도중 과민반응으로 발열, 오한, 부종,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기도 하나, 적절한 약제 투여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주로 여포성 림프종과 미만성 대세포 림프종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투여 도중 과민반응으로 발열, 오한, 부종,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기도 하나, 적절한 약제 투여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브렌툭시맘 베도팅(Brentuximab vedotin)
.jpg)
• 종양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에 항암약물(미세소관차단제)을 결합한, ‘항체-약물 결합체’.
• 항체가 약물을 CD30이 발현된 종양세포까지 운반해주면, 이후 약물이 종양세포로 직접 방출되어 암세포만을 효과적으
로 공격하여 사멸.
• 기존 항암요법 및 자가조혈모세포 이식에 실패한 호지킨림프종과 재발성 또는 불응성 전신역형성대세포림프종 환자의
치료에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