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혈모세포이식이란?
항암치료 및 방사선 치료로 병든 환자의 종양세포(또는 골수)를 파괴한 후 자신 또는 타인의 조혈모세포를 혈관을 통해 수혈 하듯이 주입하여 골수를 재건하는 치료를 말한다.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주입하는 경우를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이라고 하고 타인의 조혈모세포를 주입하는 경우를 동종조혈모세포이식 이라고 한다.
림프종에서의 자가조혈모세포이식
1) 대상자
• 재발 후 구제항암화학요법에 부분반응을 보이는
경우
• 표준항암화학요법(1차제)에 반응을 보이지 않고,
구제항암화학요법(2차제)에 부분반응을 보이는 경우
• 표준항암화학요법(1차제)에 완전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 아래 고위험군에 속하면서 표준항암화학요법에 부분반응 ~ 완전반응을 보이는 경우
- 진단 당시 종양의 크기가 큰 경우(예: 10cm 이상)
- 진단 당시 LDH 수치가 높고 3~4기에 해당되는 경우
경우
• 표준항암화학요법(1차제)에 반응을 보이지 않고,
구제항암화학요법(2차제)에 부분반응을 보이는 경우
• 표준항암화학요법(1차제)에 완전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 아래 고위험군에 속하면서 표준항암화학요법에 부분반응 ~ 완전반응을 보이는 경우
- 진단 당시 종양의 크기가 큰 경우(예: 10cm 이상)
- 진단 당시 LDH 수치가 높고 3~4기에 해당되는 경우
2) 자가조혈모세포이식 과정
.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