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입원해서 인공와우이식수술전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이때 급여로 인공와우이식수술이 가능한지. 선별급여(본인부담 80%)로 진행하게 될지 최종 확정되게 됩니다.
보다시피 연령별로 차이가 급여 기준에 차이가 있고 인공와우 이식수술전 검사는
19세 이상 성인과 1세~19세 미만 소아, 1세 미만 소아로 나누어 진행하게 됩니다.
검사 진행하는 일정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1. 유소아
1) BERA, ASSR, OAE (뇌파청력검사) : play audio 불가능한 소아의 경우 (보통 36개월 미만의 소아) 수술전 6개월 이내 2번의 검사 결과 필요, 단, 타병원에서 수술 6개월 이내 검사 결과 있는 경우에는 1번만 가능.(만 1세 미만은 2회모두 양측 90dBnHL이상/ 1세 이상은 양측 70dBnHL 이상 시 급여)
2) Play audio (순음 청력 검사) : 36개월~만8세 이하 소아에 해당하는 순음 청력 검사. 급여 가능 여부 확인 위해서는 6개월 이내 2번의 70dB 넘는 PTA 결과 값이 필요. (이때 70dB는 6분법으로 계산)
3) 보청기 상담 : 언어평가 전 보청기 최적화 위해 개인 보청기 있으면 가지고 가도록 설명. 보청기 없는 환자이면 언어평가 시 일시적으로 검사실에서 보청기 대여 해서 알아서 언어평가 진행하게 됨.
4) 언어평가 : 최대로 조절한 보청기를 착용 후 진행. 급여 위해서는보청기 fitting 3개월 이후에 언어평가 진행.
5) TEMPORAL BONE CT (NON-CONT) : 소아의 경우 MRI와 같이 진행 시 마취진정으로 미리 예약 필요.
6) IAC MRI (pre-post contrast) : CT와 같이 시행시 두가지 동시에 알아서 진행. 진정 검사로 BERA, ASSR, OAE 시행하게 되는 경우에는 같은날 진행 불가.
7) 소아과, 소아정신과 협진: 발달 장애 여부 확인하기 위함. 소아과 협진 전 머리 둘레 기록에 미리 기재 필요.
2. 성인
1) V-HIT, V-CAL, VEMP (전정기능 검사) : 인공와우 이식수술전 전정기능을 평가하여 수술 후 예측 or 수술부위 선택에 반영
2) BERA, ASSR, OAE (뇌파청력검사) : 성인은 수술 6개월 이내 1번만 있어도 됨
3) PTA/SA (순음 청력 검사) : 급여 가능 여부 확인 위해서는 6개월 이내 2번의 70dB 넘는 PTA 결과값이 필요. (이때 70dB는 6분법으로 계산)
4) 편측 음장 어음 검사, 양측 음장 어음 검사 (보청기 착용 후 청력 검사) : 보통 보청기 상담 시 진행. 보청기를 한 상태에서의 청력 역치 평가
5) 보청기 상담 : 언어평가 전 보청기 최적화 위해 개인 보청기 있으면 가지고 가도록 설명. 보청기 없는 환자이면 언어평가 시 일시적으로 검사실에서 보청기 대여 해서 알아서 언어평가 진행하게 됨.
6) 언어평가 : 최적으로 조절한 보청기를 착용 후 진행. 급여 기준 확인에 필요.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단음절어. 이음절어. 문장언어평가 상 50% 이하여야 급여
7) TEMPORAL BONE CT (NON-CONT) : 내이기형 유무 확인, 안면신경 주행 등 수술 시 필요한 부분 확인
8) IAC MRI (pre-post contrast) : 청신경 종양 여부 확인, 청신경 기형 유무 확인